본문 바로가기

노후준비 연금저축 총정리

월탈월천 2025. 5. 4.

즐거운 연휴입니다.

 

여유롭게 거실에서 음악 틀어놓고 커피 한잔하면서 한번 생각해 봤습니다.

내가 왜 주식 공부를 하며 얼마 안 되는 포스팅 수익을 보며 스트레스를 받을까..

금방이라도 인플루언서가 되어서 제2의 파이프라인을 구축할 것만 같았지만 현실은ㅠㅠ

익절보다는 손절이 더 많은 주린이...(솔직히 손절 잘 못함 ㅠㅠ)

경제적 독립을 위해 시작했지만 절대 절대 저 독립은 아무나 할 수 없다는 것!

그럼 조금 빠르게 명퇴라도?

지금 월급보다 더 많은 수익을 낼 수준이면 멋지게 사표를 내겠지만 이 또한 쉽지 않음! 하......

유튜버 하와이 대저택님이나 삼프로TV를 주로 보는데 자산가들의 한마디! 노후를 준비하라!

아....

저금보다는 투자.. 부동산은 목돈이 있어야 하니 그전에 주식 투자로 목돈을 만들어보자는 마음으로 해보지만..

정말 쉽지 않은... 그래도 살짝 나만의 기준이 생겼다고나 할까요?!

 

1. 우량주 장기투자 종목 적립식으로 따로 관리

2. 뉴스매매는 장 마감 후 종가 매수

다음 날 9시 30분이 전 매도 철칙

 

1년간 진행해 온 포스팅 처음보다 열정은 떨어졌지만 포기 않고 적어보니 그래도 득이 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다시 불끈!! 마음을 다잡아봅니다.

 

1차 목표 블로그 수익으로 노트북 구매하기^^ 달성하는 그날까지 화이팅!!

더 늦기 전에 노후준비

제가 좋아하는 하와이 대저택님 채널을 아침에 청소하면서 듣는데 이호선 님이 나오셨더라고요.

김미경 님과 느낌이 비슷하신 호탕하신 교수님!

이혼 숙려 캠프라는 프로그램에서 심리상담가로 아주 직언하시는 모습이 멋지시죠.

 

누군가에게 저렇게 당당하게 말할수 있다는건 그분야에서 자신이 있다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노후준비!

해야죠! 암요~ 재수 없으면 200살까지 산다는 이호선 님의 말 웃었지만 현실이 될 수도 있으니까요!

 
개인연금 연금저축

IRP, ISA, 연금저축 들어보셨죠?

전 솔직히 헷갈리더라고요.

대충대충 수박 겉 핥기 식으로 좀 아는 스타일이라 항상 구멍이 있죠. ㅋㅋㅋㅋㅋ

그래서 이거 하나만 딱 알아보려고 합니다.

바로 연금제도!

쉽게 간략하게 포인트만 알아보겠습니다.

연금제도 중 개인연금(ft.연금저축)

연금제도 크게 3가지입니다.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

연말정산 때 많이 거론되는 세액공제 혜택이 있는 연금저축!

이게 바로 개인연금 중 하나인데요.

연금저축에는 크게 연금저축보험, 연금저축펀드가 있는데 보통 연금저축펀드를 많이 선택합니다.

연금저축

5년 이상 저금 후 적립금을 만 55세 이후에 연금 형태로 받는 상품

연 최대 1,800만 원까지 저축할 수 있음

 

연금저축은 적립금을 55세 이후에 받을 수 있다는 점!

그래서 퇴직 때 퇴직연금+연금저축으로 노후준비를 하는 거였군요.

노후도 노후지만 연금저축은 세액공제가 되는 이점이 있어서 연말정산 시즌이 되면 경제신문에 자주 언급이 됩니다.

연금저축의 세액공제 한도는 연간 최대 600만 원까지 됩니다.

월 50만 원씩 납부하면 최대 공제를 받을 수 있겠네요.

 

- 총 급여 5,500만 원 또는 종합소득 4,500만 원 이하 : 16.5% (연말정산 시 최대 99만 원 공제)

- 총 급여 5,500만 원 또는 종합소득 4,500만 원 초과 : 13.2% (연말정산 시 최대 79만 2,000원 공제)

 

또 다른 장점은 연금 수령 시에 연금 소득세를 부과하는 것입니다.

연금 개시 전까지는 연금저축 계좌를 운용하면서 발생한 수익에 과세를 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55세 이후 연금 수령 시 3.3%~5.5%의 연금 소득세를 부과합니다.

하지만 일반 계좌에서 얻은 배당이나 이자 수익은 보통 15.4%의 금융 소득세를 부과하죠.

 

연금저축은 이보다 10% 이상 낮은 세율을 부과하는 대신 만 55세까지 해지하지 않는 것을 약속으로 합니다.

금융 소득세라는 게 금액이 적으면 피부에 별로 와닿지 않겠지만 장기간 쌓인 목돈에 부과하는 것이니 얘기가 다르겠죠?!

최대한 연금저축은 해지를 하지 않아야 하는게 답인것 같네요.

 

하지만 어쩌다 어쩌다 일이 생겨서 연금을 개시하기 전 적립한 금액을 일부라도 인출할 경우 세액공제받은 적립금과 운용 수익에 대한 기타 소득세 16.5%를 내야 한다는 점은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연금저축은 여유자금으로 생활하는데 부담이 없을 정도의 금액으로 55세까지 해지하지 않을 각오로 들어야겠습니다.

확실히 이해가 됩니다!

누가 물어봐도 설명해 줄 수 있어야 제대로 아는 것이라고 하는데 이제 그렇게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포스팅하면서 제 계좌를 한번 봤습니다.

 

연금저축을 든 줄 알았는데 신한은행에서 개인형IRP를 들었더라고요 ㅎㅎㅎㅎㅎ

신한은행 퇴직연금

이건 퇴직연금의 일종인데 다음에 차이점을 연금저축과 비교해 보겠습니다.

포스팅을 하면서 저만의 공부가 되는 게 참 좋은 것 같네요.

필요하신 분들에게 도움이 되면 더 좋겠지만요~

앞으로도 꾸준히 경제 관련 공부를 해 나가겠습니다.

긴 연휴 행복하게 여유롭게 잘 보내시기 바랍니다.

 

300x250

댓글